원팀' 이룬 K-조선, '최대 60조' 캐나다 잠수함 사업 결선행
한화오션·HD현대, 獨기업과 적격후보로 선정…잠수함 최대 12척 도입
내년 조기계약 가능성도…수주 성공하면 단일 사업으론 사상 최대
최대 60조원 규모의 캐나다 잠수함 수주 사업에 '원팀'으로 도전한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이 독일 기업과 함께 최종 결선인 '숏리스트'(적격후보)에 선정된 것으로 26일 확인됐다.
작년 호주 호위함 사업에선 두 업체가 각자 따로 수주 경쟁에 뛰어들었다가 모두 고배를 마셨는데, 이를 반면교사 삼아 원팀으로 도전한 이번 사업에선 최종 후보에 올랐다.
캐나다 정부는 추가 사업자 평가를 거쳐 이르면 내년께 최종 사업자를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방위사업청과 방산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 원팀 컨소시엄은 '캐나다 초계 잠수함 프로젝트'(CPSP) 사업에서 독일 티센크루프마린시스템(TKMS)과 함께 숏리스트에 선정됐다.
이번 사업에는 프랑스 나발 그룹, 스페인 나반티아, 스웨덴 사브 등 유럽의 대표 방산업체들이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 컨소시엄과 독일 TKMS가 결승 티켓을 거머쥐었다.
이 사업은 2030년 중반 도태 예정인 빅토리아급 잠수함(4척)의 대체 전력으로 디젤 잠수함 최대 12척을 획득하는 사업이다.
잠수함 획득 관련 계약비용만 최대 20조원 규모이고, 향후 30년간 운영·유지 비용까지 포함하면 계약 규모가 최대 60조원까지 늘어나는 초대형 잠수함 사업이다. 수주에 성공하면 단일 방산 수출계약으론 사상 최대 규모다.
우리 방산업체들은 방사청의 중재 아래 한화오션이 사업 주관, HD현대중공업이 지원하는 형태의 '원팀'으로 이번 수주전에 뛰어들었다.
국내 조선업계 양강인 두 업체는 방산시장 확대에 따른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한국형차기구축함사업(KDDX) 등 여러 함정(특수선) 사업에서 치열하게 경쟁해왔다.
최근 두 업체는 호주 신형 호위함 11척 추가 도입 사업에도 각각 뛰어들었다가 단일팀 형태로 도전한 일본·독일 기업에 밀려 모두 탈락한 바 있다.
당시 '코리아 원팀' 구성하지 못해 정부 지원이 분산된 점 등이 수주 경쟁에서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결국 두 기업은 지난 2월 방사청 주도로 향후 함정 수출사업 '원팀' 구성으로 협력한다는 내용의 MOU를 체결했다.
함정 수출사업 참여시 정부와 함정 업계가 원팀을 구성하고, 상대적 강점이 있는 분야인 HD현대중공업이 수상함 수출사업을, 한화오션이 잠수함 수출사업을 주관하며 상대 기업을 지원한다는 게 MOU의 골자다.
이번 캐나다 잠수함 수주전도 당시 합의에 기초해 한화오션이 주관하고, HD현대중공업이 지원하는 형태의 단일팀으로 이뤄졌다.
한화오션 측은 이번 사업에 디젤 추진 잠수함 가운데 최고 수준의 작전성능을 보유한 3천t급 '장보고-Ⅲ 배치-Ⅱ'를 제안했다.
공기가 필요 없는 '공기불요추진장치'(AIP)와 리튬이온 배터리를 적용해 3주 이상 수중 작전이 가능하고, 최대 7천해리(약 1만2천900㎞)를 운항할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이에 더해 빠른 납기 역량과 검증된 잠수함 솔루션, 현지화 전략 등으로 캐나다 해군의 호평을 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